야호의 혼자살기

경계성 지능장애란? 특징과 치료법 알아보기 본문

취미

경계성 지능장애란? 특징과 치료법 알아보기

야호님 2025. 5. 19. 22:01
반응형
SMALL

 

 

아이들이 또래보다 학습이 느리거나, 사회적인 상황에서 조금 서툰 모습을 보이면 부모님들은 자연스럽게 걱정을 하게 됩니다.
그 중 지능이 평균보다 다소 낮지만, 지적장애로 분류되지는 않는 상태, 바로 이것을 **‘경계성 지능장애(경계선 지능)’**라고 합니다.

오늘은 경계성 지능장애의 정의, 특징, 진단 기준, 그리고 치료법까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.


📌 경계성 지능장애란 무엇인가요?

  • 경계성 지능장애는 IQ 70~84 사이에 해당하는 상태를 말합니다.
  • 지적장애(IQ 70 이하)보다는 높지만, 평균 지능(IQ 85~115)보다는 낮은 수준입니다.
  • 공식 질병명은 아니지만, 의학적·교육적으로 중요한 개념입니다.

쉽게 말해, "정상과 지적장애 사이에 있는 회색지대"라고 볼 수 있어요.


🧩 어떤 특징이 있나요?

1. 📚 학습 능력이 떨어진다

  • 또래보다 읽기, 쓰기, 수학 능력이 뒤처질 수 있습니다.
  • 이해력과 기억력이 부족해서 학습 속도가 느립니다.

2. 🗣️ 의사소통과 표현이 미숙하다

  • 자신의 생각이나 감정을 말로 잘 표현하지 못하고,
  • 말귀를 잘 못 알아듣거나 상황에 맞지 않는 말을 할 수도 있습니다.

3. 🤝 사회적 기술이 부족하다

  • 또래 친구들과 어울리는 데 어려움을 겪고,
  • 사회적 규칙(차례 지키기, 눈치 보기 등)을 잘 이해하지 못합니다.

4. 🧠 추상적 사고가 어렵다

  • 상징, 비유, 유추 등 복잡한 개념을 이해하는 데 어려움이 있습니다.
  • 감정 조절이나 문제 해결 능력도 부족한 경우가 많습니다.

5. 😞 자존감 저하와 좌절감

  • 반복된 실패 경험 때문에 자신감이 낮고,
  • 우울, 불안, 분노 등 정서적 문제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.

🔍 진단은 어떻게 하나요?

경계성 지능장애는 단순히 IQ 점수만으로 진단하지 않습니다. 다음을 종합적으로 봅니다:

  1. 지능검사 결과 (IQ 70~84)
  2. 적응 행동 검사 (일상생활 능력 평가)
  3. 교사나 부모의 관찰 소견
  4. 학습 성취도 검사

진단은 소아정신과, 신경심리학자, 특수교육전문가 등의 평가를 통해 이루어집니다.


🩺 치료 및 개입 방법은?

1. 🎓 특수교육 및 학습 지원

  • 학교에서 **맞춤형 교육 계획(IEP)**을 수립하고
  • **기초학습(읽기, 쓰기, 수 계산)**을 반복 훈련합니다.

2. 🗣️ 언어치료

  • 말하기, 듣기, 이해력 향상을 위한 치료가 필요합니다.
  • 사회적 언어 능력(Social Communication)도 함께 훈련합니다.

3. 🤝 사회성 훈련

  • 또래 관계 형성을 돕는 사회성 그룹치료, 게임치료
  • 규칙 지키기, 차례 기다리기 같은 기본 사회기술을 배웁니다.

4. 🧠 인지행동치료 (CBT)

  • 좌절감, 불안, 분노 조절을 돕는 심리치료입니다.
  • 자기 조절력감정 조절 능력을 높여줍니다.

5. 🏡 부모 교육 및 상담

  • 부모님도 아이의 특성을 이해하고 올바른 양육 방법을 배우는 것이 중요합니다.
  • 정서적 지지와 일관된 교육 태도가 아이에게 큰 도움이 됩니다.

🌱 성장 가능성은?

경계성 지능장애를 가진 아이들은 초기 개입과 지속적인 지원만 잘 이뤄진다면,
일상생활은 물론이고 취업이나 사회활동도 충분히 가능합니다.

중요한 것은 아이를 단순히 '느리다'고 단정짓지 않고,
각자의 속도에 맞는 교육과 따뜻한 격려를 해주는 것입니다.

반응형
LIST